앞서 SBS 예능프로그램 <짝>의 여성 출연자가 녹화 도중 숨진 채 발견된 사건을 다룬 기사의 이상한 어법에 대해 

생각해보았다. (2014/03/07 - [읽다] - 사람 죽었는데 '대박'?)


이번에는 그 이상한 어법이 등장하는 문장에 대해 조금 더 생각을 밀어붙여볼 생각이다.


온라인 기사를 보면 마지막 즈음 거의 언제나 항상 등장하는 문장 (혹은 문단)이 있다.


"누리꾼 (혹은 네티즌들은) ... 라고 말했다."


이 문장은 사안에 따라 '...' 부분만 바뀔 뿐 

주어와 술어가 거의 언제나 항상 똑같다는 점에서 일종의 공식이라고 부르고 싶을 정도이다. 

수학에서 문제에 따라 숫자를 넣으면 정답이 나오는 근의 공식처럼 말이다.


온라인 기사에서 이 문장의 기능은 무엇일까? 다시 말해 이 문장은 무엇을 위해 존재할까?


우선은 온라인 기사가 언급하고 있는 주제에 대해 누리꾼 역시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음을 

스스로 증명하는 기능을 한다. 그래서 기사화될 가치가 충분함을 스스로 뒷받침한다.

말하자면, 이 내용에 대해 철수도 한마디 보탰고 영희도 한마디 보태고 있으니까 

기사화될 만한 충분한 가치가 있는 것 아니겠어요?


다음은 읽는 독자로 하여금 내가 읽고 있는 이 기사의 내용이 

다른 사람들도 충분히 관심을 갖고 있다는 근거를 제공한다. 

다시 말해, 내가 지금 읽고 있는 이 기사가 읽을 만한 가치가 충분하다는 알리바이를 제공한다.

말하자면, 철수도 한마디 보탰고 영희도 한마디 보태고 있으니까 

내가 읽을만한 가치가 충분히 있는 것 아니겠어요? 


여기에서 방점은 기사나 독자 모두 자신의 존재-행위에 정당성을 부여하고 있다는 점이다.

어떤 정당성? 기사가 쓰여지거나 읽을만한 가치가 있다는 정당성.

이 정당성의 근거는 당연히 누리꾼이라는 존재이다. 

여기에서 누리꾼이라는 존재는, 로저 실버스톤 식으로 말하자면, 미디어가 우리의 일상생활을 구성하는데 

없어서는 안 될 일종의 '이웃'과도 같은 지위를 차지하게 된다.

사회학에서 일상생활은 나와 너, 우리와 이웃이 상호작용을 하면서 사회를 구성하게 되는 기반이 된다.

세상에, 나만이 존재하는 사회란 것이 과연 가능하긴 할까? 

이런 점에서 누리꾼의 공식은 온라인 기사가 사회에서 생산-소비될만한 기사임을 보증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그럴 수 있다. 


하지만 이 '누리꾼의 공식'이란 것이 만약 일종의 기만이라면 어쩔 것인가.


우선, 이 공식에 등장하는 누리꾼의 정체가 모호하다.

누리꾼이 글을 남겼다면 글을 남긴 매체나 사용한 아이디, 하다못해 필명은 있기 마련인데 

온라인 매체 가운데 이런 것들이 명시된 사례는 극히 드물다.

이는 신문 기사에서 '개포동에 사는 김갑수 씨는 ...라고 말했다'나  

방송 리포트에서 '김갑수 / 서울 개포동'라는 인터뷰 문발을 볼 수 있는 것과 대조적이다.


또 하나, 이 공식에 등장하는 누리꾼의 코멘트가 너무나도 피상적이다.

이를테면 '먹방'을 보고서는 '맛있게 먹는다', '셀카' 사진을 보고서는 '예쁘다'는 식이다.

앞 게시물에서 언급했던 '대박'은 무슨 만병통치약처럼 쓰일 정도로 상투적인 표현으로 자리매김 했다.

누가 말했는지도 모르는데다 너무나도 상투적인 표현들이어서 (그럴리는 없겠지만) 지어낸 느낌마저 든다.

    

이것은 마치 예능 프로그램에서 미리 녹음된 웃음소리를 틀어주는 것과 똑같은 효과 아닌가?

녹음된 웃음소리는 방청석의 리액션 쇼트가 있을 수가 없기 때문에 누가 웃었는지도 모를 뿐더러

그것이 녹음된 웃음소리인지 아닌지 시청자인 우리들은 직감적으로 눈치 챌 수 있기 때문에 

그것이 영혼없는 웃음인 것도 잘 안다. 이데올로기의 숭고한 대상」에서 지젝이 지적했듯이, 

녹음된 웃음소리의 진정한 기능은 웃어야 하는 우리의 의무를 대신해준다는 데 있다. 

이런 기능 덕분에 우리는 우리가 본 프로그램이 '객관적으로' 재미있다고 말할 수 있게 된다. 

심지어 전혀 웃지도 않더라도 말이다.[각주:1]


마찬가지로 누리꾼의 공식은 누가 말했는지 정체가 모호할 뿐더러, 피상적인 표현에 불과함에도 불구하고

기사와 읽는 이로 하여금 하나의 주제를 놓고 다른 사람과 정서를 공유한다는 느낌, 

그래서 쓰거나 읽을 만한 가치가 있는 기사라는 느낌을 나누게 한다.

실제로 그 기사가 그런 가치가 있는지는 여기서 중요하지 않다.

그것이 누리꾼의 공식이라는 문장의 역할이다.


진정한 이웃이라기 보다는 유령과도 같은 존재로서의 누리꾼,

말하자면 텅 빈 공백과도 같은 문장, 

그럼에도 불구하고 작동하는 이상한 효과. 

만약 허락된다면 나는 이 문장을 '유령의 문장'이라고 부르고 싶다.


  1. 슬라보예 지젝, 이수련 역, 「이데올로기라는 숭고한 대상」, 인간사랑, 2002년, 71~72쪽. [본문으로]

'읽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람 죽었는데 '대박'?  (1) 2014.03.07
<긍정의 배신>, 긍정의 이데올로기  (0) 2012.01.08

WRITTEN BY
양일혁

,